IPCC

위키

최근 업데이트: 2025년 7월 16일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는 1988년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에 의해 공동 설립되었다.1 IPCC의 목표는 각국 정부가 기후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IPCC에는 현재 한국을 포함해 195개 회원국이 참여하고 있다.

IPCC는 세 개의 실무그룹(Working Group)과 하나의 태스크포스(Task Force)로 나뉘어 있다.1:2

  • 제 1 실무그룹: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를 다룬다.
  • 제 2 실무그룹: 기후변화의 영향, 적응, 취약성을 다룬다.
  • 제 3 실무그룹: 기후변화 완화 방안을 다룬다.
  •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태스크포스: 각국 온실가스 배출 및 제거량을 계산하고 보고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선한다.

IPCC 제5차보고서 (AR5)

제 1 실무그룹의 보고서는 2013년에 출간되었으며, 나머지 실무그룹의 보고서 및 종합보고서는 2014년에 출간되었다. 해당보고서의 핵심 내용은 아래와 같다.2

인간 활동의 영향에 대한 확신 강화

인간 활동이 20세기 중반 이후 관측된 온난화의 주요 원인일 가능성을 "매우 높음(90%이상)"에서 "극히 높음(extremely likely, 95%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다.

탄소예산 개념의 도입

워킹그룹 II에서는 누적 탄소 배출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미래 기온 변화가 누적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비례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정 온도 상승 목표 달성을 위한 총 탄소배출 허용량, 즉 탄소예산 개념을 제시했다. 특히 2도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2011년부터 약 1조tCO2가 남았다는 점을 명시했다.

돌이킬 수 없는 영향에 대한 경고

현재의 수준에서 더 추가적인 완화 노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21세기 말까지 매우 높은 수준의 비가역적이고 광범위한 영향이 나타날 수 있음을 경고했다.

2°C 목표

온난화 수준을 2°C 내로 제한하기 위한 완화 경로를 제시하였다.

긷다 위키
IPCC 제5차보고서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 (SR1.5)

파리협정이 채택된 2015년 기후변화협약(UNFCCC) 제 21차 당사국총회에서는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1.5℃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이에 따라 IPCC에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1.5℃ 높은 지구온난화의 영향 및 이와 관련된 온실가스 배출 경로에 대한 특별보고서’를 요청했다. IPCC에서는 이 요청을 수락하여 2018년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를 발표했다.3

1.5℃와 2℃의 극명한 차이

IPCC 제 5차 보고서가 2℃ 목표에 집중했다면, 특별보고서에서는 지구온난화를 1.5℃로 제한했을 때와 2℃로 제한했을 때의 영향 차이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단 0.5℃의 추가 상승으로 인해 해수면 상승, 극한 기후현상, 생물다양성 손실, 식량 안보, 물 부족, 질병 확산 등에서 현저하게 더 위험해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5℃ 목표 달성의 긴급성과 가능성

1.5℃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0년 대비 약 45% 감축하고, 2050년 경에는 순 배출 제로를 달성해야 한다고 명확한 시점을 제시했다.

탄소예산의 중요성

미래 기온 상승을 1.5℃로 제한하기 위해 인류가 배출할 수 있는 잔여탄소예산이 매우 제한적임을 강조하였다.

다양한 감축 시나리오 제시

1.5℃ 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배출 경로와 이를 위한 에너지, 토지 이용 등 모든 부문의 대규모 전환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재생에너지 전환, 에너지 효율 향상, 탄소제거기술 등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와의 연계성

기후변화 대응이 지속가능발전목표(SDG)와 어떻게 연결되며, 기후 행동이 사회적 형평성에 어떤 영향르 미치는지를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긷다 위키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

IPCC 제6차보고서 (AR6)

제 1 실무그룹의 보고서는 2021년 8월에 발표되었고, 제 2, 3 실무그룹의 보고서는 2022년에 발표되었다. 종합보고서는 2023년 3월에 발표되었다.4

인간 활동의 영향을 명확히 함

제5차보고서에서 '극히 높음(extremely likely, 95% 이상)'으로 표현되었던 인간의 영향이, 제6차보고서에서는 명확하다고(unequivocally) 단언되고 있다.

시급한 행동의 필요성

1.5°C까지 얼마 남지 않았음을 언급하면서, 신속하고 심층적이며 즉각적인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이야기하고 있다.

저가능성-고영향 사건의 언급

남극 빙상 붕괴나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의 붕괴와 같은 일어날 가능성은 낮지만 일어날 경우 영향은 큰 사건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긷다 위키
IPCC 제6차보고서

참고문헌


  1. About—IPCC. (n.d.). Retrieved June 29, 2025, from https://www.ipcc.ch/about/ ↩︎ ↩︎2
  2. AR5 Synthesis Report: Climate Change 2014 — IPCC. (2014). https://www.ipcc.ch/site/assets/uploads/2018/02/ar5_SYR_Korean_Edition_Longer_report.pdf ↩︎
  3. IPCC. (2018). Summary for Policymakers. In V. Masson-Delmotte, P. Zhai, H.-O. Pörtner, D. Roberts, J. Skea, P.R. Shukla, A. Pirani, W. Moufouma-Okia, C. Péan, R. Pidcock, S. Connors, J.B.R. Matthews, Y. Chen, X. Zhou, M.I. Gomis, E. Lonnoy, T. Maycock, M. Tignor, & T. Waterfield (Eds.), Global warming of 1.5°C: An IPCC special report on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of 1.5°C above pre-industrial levels and related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 pathways, in the context of strengthening the global response to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fforts to eradicate poverty (pp. 3-24).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9781009157940.001 ↩︎
  4. IPCC. (2023). Climate Change 2023: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 Lee & J. Romero, Eds.). IPCC. https://doi.org/10.59327/IPCC/AR6-97892916916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