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전지역

위키

최근 업데이트: 2025년 7월 13일

보전지역(protected area)은 자연을 보호하고, 자연의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장기적으로 보전하기 위해 법적 수단 등으로 보호되는 지역을 말한다. IUCN은 다음과 같이 보전지역을 정의하고 있다.1

📖 정의

보전지역은 자연과 그와 관련된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장기적으로 보전하기 위해 법적 또는 기타 효과적인 수단을 통해 인정, 지정, 관리되는 명확하게 정의된 지리적 공간이다.

출처: Stolton et al. (2013). Guidelines for applying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8쪽). IUCN. https://portals.iucn.org/library/node/30018

IUCN 보전지역 범주

IUCN에서는 보전지역을 총 6(+1)개의 범주로 구분하고 있다.

  • I. 엄격한 보호지
    • Ia. 엄격한 자연보전지
    • Ib. 야생지역
  • II. 국립공원
  • III. 자연기념물
  • IV. 서식지, 종 관리 지역
  • V. 보호경관
  • VI. 천연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보전지역
긷다 위키
IUCN 보전지역 범주

보전지역 면적 목표

인간 사회를 떠받치는 자연이 더이상 쇠퇴하지 않도록 얼마나 많은 면적을 상대적으로 교란되지 않은 상태로 보전해야 하는가는 논쟁적인 주제이다.2 1992년 IUCN 주최로 열린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에서 열린 세계공원총회(World Parks Congress)에서는 전 세계의 10%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자는 목표가 제시되었다.

2010년 열린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는 총 20개 목표가 채택되었으며, 이 중 11번 목표는 보다 상향된 보전지역 목표를 보여준다. 2020년까지 육상 및 내수면 면적의 최소 17%, 연안 및 해양 면적의 10%를 보전하기로 목표를 세운 것이다. 유엔환경계획 세계보전모니터링센터는 IUCN과 함께 이러한 목표에 대한 진척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맡았다.2:2

2022년 열린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는 육지와 바다의 30%를 보전하겠다는 목표를 담은 쿤밍-몬트리올 세계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를 채택했다.3

몇몇 보전운동가와 과학자들은 "자연은 절반이 필요하다(nature needs half)"라는 구호를 내세우며 지구의 절반을 건강하게 기능하며 교란이 적은 생태계로 남겨두자는 목표를 세우자고 촉구하고 있다.2:3 E. O. 윌슨은 자신의 저서 지구의 절반(2017년, 사이언스 북스)에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한다면 현생 종의 85%가 살아남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Protected Planet
Protected Areas (WDPA)

The World Database on Protected Areas (WDPA) is the most comprehensive global database on terrestrial and marine protected areas.

이미지
한국의 보전지역

현황

유엔환경계획(UNEP)과 IUCN이 공동 프로젝트로 관리하는 세계 보전구역 데이터베이스(WDPA)는 전세계 각국 정부가 보고하는 보전구역을 지도 상에 표시하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 세계보전모니터링센터(UNEP-WCMC)는 2022년 열린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된 쿤밍-몬트리올 세계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에 기반해 보전구역을 평가한 2024년 지구 보호 보고서를 발간했다.3:2 세계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의 목표 3은 2030년까지 육지와 바다의 각각 30%를 보전지역으로 보호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세계 보전지역의 면적은 육지 및 내수면의 17.6%, 해양 및 연안 지역의 8.4% 수준이다. 2030년까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더욱 강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게 보고서의 평가이다. 핵심 생물다양성 지역의 3분의 2 이상이 보전구역으로 보호받고 있다.

참고문헌


  1. Stolton, S., Shadie, P., & Dudley, N. (2013). Guidelines for applying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IUCN. https://portals.iucn.org/library/node/30018 ↩︎
  2. Ernesto C. Enkerlin-Hoeflich & Steven R. Beissinger. (2017). A Global Perspective on Parks and Protected Areas. In Steven R. Beissinger, David D. Ackerly, Holly Doremus, & Gary E. Machlis (Eds.), Science, Conservation, and National Park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ttps://doi.org/10.7208/9780226423142 ↩︎ ↩︎2 ↩︎3
  3. Protected Planet Report 2024. (2025). Protected Planet Report 2024. Retrieved July 14, 2025, from https://digitalreport.protectedplanet.ne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