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로드킬
로드킬 현황
2024년 12월에 수립된 제 3차 동물 찻길 사고(로드킬) 저감 대책(25~27년)에 나온 로드킬 현황을 일부 종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2:2 2021년 이후의 급격한 로드킬 건수 증가는 2019년 생긴 로드킬 정보시스템과 로드킬 조사용 앱 굿로드의 정착으로 생긴 효과가 대부분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도별 발생현황2:3 3
| 연도 | 총 건수 | 고라니 | 고양이 |
|---|---|---|---|
| 2019년 | 21,397 | 11,638 | 4,661 |
| 2020년 | 15,107 | 6,864 | 3,008 |
| 2021년 | 37,261 | 10,847 | 17,527 |
| 2022년 | 63,989 | 16,075 | 31,880 |
| 2023년 | 79,278 | 18,267 | 38,143 |
고양이 사고 건수 증가는 기존의 국도, 고속도로 중심의 조사에서 도심지 내 정보까지 수집하면서 나타난 효과로 분석된다.4
2023년 종별 발생현황
| 종 | 건수 |
|---|---|
| 고양이 | 38,143 |
| 고라니 | 18,267 |
| 너구리 | 4,011 |
| 개 | 2,575 |
| 조류 등 | 14,612 |
! 조류 등: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가축 등
2023년 고양이, 고라니 도로별 발생건수
| 도로 구분 | 고양이 | 고라니 |
|---|---|---|
| 고속도로 | 87 | 717 |
| 국도 | 10,843 | 9,598 |
| 지방도 | 2,632 | 1,756 |
| 시군구도 | 22,239 | 4,992 |
| 기타도로 | 2,342 | 1,204 |
| 합계 | 38,143 | 18,267 |
로드킬의 원인
통계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도로 총연장은 115,878km에 달하여, 너구리의 평균 행동권 평균인 토지 1제곱킬로미터 당 1km 이상의 도로가 건설되어 있다.1:2 또한 한 해에 1천km 이상의 도로가 신설되고 있다. 2024년 말 기준으로 등록된 차량 대수도 2,630만대에 달한다. 이러한 높은 도로 밀도와 자동차 운행 등에 비해 관련 대책은 2019년 이후에야 체계적으로 세워지기 시작했다.
동물 찻길 사고 저감대책
국토교통부, 환경부, 국립생태원 및 도로관리청은 동물 찻길 사고(로드킬) 조사 및 관리 지침에 따라 매 3년마다 동물 찻길 사고 저감대책을 수립한다. 두 기관은 협력하여 사고 다발 구간에 유도울타리 설치, 주의표지판 설치, 단속 카메라 설치 등을 하고 있다.
도로관리청에서는 로드킬 사체처리 및 정보전송(굿로드 앱)을 하고 있다. 국립생태원에서는 로드킬 정보시스템(공공데이터)을 운영하고 있으며, 굿로드 앱에 올라온 데이터의 동물 종 동정 및 위치 승인을 통해 전국 로드킬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1:3
포유류, 조류에 머물렀던 조사, 보호대상도 확대하여 양서류 및 파충류 보호를 위해 사고 조사 대상을 확대하고, 두꺼비 찻길사고 다발구간 3곳을 선정하여 저감방안을 시행 중이다. (대전 유성구 - 방동 저수지, 울산 중구 - 장현 저류지, 전남 담양 - 고가제)
주민 및 환경운동

광양만 녹색연합과 주민의 캠페인 사례
광양만 녹색연합은 2015년 3월 부터 섬진강 일대 51개 소류지와 논습지를 찾아 두꺼비 산란 유무와 로드킬 조사를 시작했다. 또한 다압초등학교 교사, 학생과 함께 섬진강두꺼비생태학교를 운영하며 두꺼비 이동을 도았다. 전남도지사에게 편지를 보내 지자체에 서식지 보호, 생태통로 조성 등 대책 마련도 요구했다.
이러한 노력이 광양시와 환경부를 움직이게 해 한 개의 생태통로가 설치되었지만 1km 구간 중 하나로는 부족했다. 2016년에는 전남대학교 동물행동연구팀과 함께 서식지 조사와 행동권 조사를 진행하기도 했다. 2018년부터는 광양시에서 두꺼비 이동을 돕는 인력을 배정하고 시설을 점검하는 등 로드킬 문제 개선을 위해 애를 쓰기 시작했다. 녹색연합은 공모사업에 지원하여 8개의 주의표지판도 설치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로드킬을 많이 줄일 수 있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해마다 수 백 마리의 두꺼비가 사망하고 있다.
참고문헌
- 로드킬과 로드킬 조사방법. (2022, December 9). 국립생태원. https://www.nie.re.kr/nie/cmmn/file/fileDown.do?atchFileId=06d1d8cee7144635954d198a90527e8a&fileSn=2 ↩︎ ↩︎2 ↩︎3
- 제3차 동물 찻길 사고(로드킬) 저감 대책('25~’27). (2024, December). 국토교통부, 환경부. https://www.me.go.kr/home/web/policy_data/read.do?menuId=10261&seq=8381 ↩︎ ↩︎2 ↩︎3
- 국립생태원_동물 찻길 사고 현황 자료_20231231 | 공공데이터포털. (2024.). Retrieved July 12, 2025, from https://www.data.go.kr/data/15100280/fileData.do ↩︎
- 김기범. (2022, October 11). 지난해 로드킬 최다는 고양이 1만7527건···고라니보다 많았던 이유는.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article/202210111458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