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BES
IPBES(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는 2012년 4월 UN 정기 총회의 인준을 받아 창립되었으며 UNEP에서 IPBES에 사무국을 제공하고 있다.[1] 2012년에는 94개 국가가 참가하였고, 2025년에는 약 150여개 국이 참여하고 있다. IPBES의 목표는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인류의 장기적인 복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과학-정책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다.[2]
전지구적 평가 I (2019)
핵심메세지[3]
A. 자연과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기능, 생태계서비스를 포함한) 자연이 인류에 기여하는 필수적 요소들이 전세계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B. 변화의 직접적, 간접적 동인들이 지난 50년간 가속화되었다.
- 직접적 동인: 토지 및 해양 이용 변화, 유기체의 직접적인 착취, 기후변화, 오염, 외래종 침입
C. 자연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하게 이용하며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는 현재 궤적으로는 달성될 수 없으며, 2030년 이후의 목표는 경제, 사회, 정치, 기술적 요인 전반에 걸친 변혁적 변화를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 생물다양성, 생태계 기능 등의 과거와 현재의 급격한 감소는 국제적인 사회, 환경 목표가 현재의 궤적을 통해서는 달성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D. 변혁적 변화를 촉진하는 긴급하고 협력적인 노력을 통해 자연을 보전, 복원 및 지속가능하게 이용하는 동시에 다른 지구적인 사회적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참고문헌
IPBES: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IPBES https://www.ipbes.net/history-establishment ↩
IPBES: about https://www.ipbes.net/about ↩
IPBES. (2019). Summary for policymakers of the global assessment report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Zenodo. https://doi.org/10.5281/zenodo.3553579 ↩